COLUMN   

  2019/12/20

경복궁 뒤편 백악산(북악산) 기슭에 자리 잡은 대한민국 대통령의 관저. 주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1960년 4·19혁명 이후 윤보선 대통령 시절에 옛 이름인 경무대(景武臺)를 버리고 새로 쓰기 시작한 이름 청와대(靑瓦臺). 중심 건물인 본관은 2층 화강암 석조에 지붕에는 청기와(靑瓦)를 얹었죠. 그래서 청와대라 이름 붙인 겁니다.

COLUMN   

  2019/09/16

근래 보기 드문 산수화 전시입니다. 유물만 360여 점이에요.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를 포함해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들의 숱한 걸작들이 망라됐습니다. 최근에 이런 규모의 산수화 전시가 없었거든요.

COLUMN   

  2019/07/23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 <문예 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은 그렇게 짧은 생을 살다간 효명세자의 삶과 업적을 돌아보는 아주 특별한 자리입니다. 얼굴이 불에 타 지워진 초상화 앞에 서서 오래도록 들여다보았죠. 얼굴이 남았다면 효명세자라는 한 사람의 생애를 그려보는 일이 훨씬 더 수월하지 않았을까.

COLUMN   

  2019/06/21

제가 2016년 11월 칼럼에서 여성이 책을 읽는 장면을 담은 우리 옛 그림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위 그림은 ‘책을 읽는 행위’를 묘사한 옛 그림 중에서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기나긴 독서의 역사에서 책을 읽는다는 행위가 여성적인 삶의 형식으로 자리 잡은 것은 불과 300여 년밖에 안 됩니다.

COLUMN   

  2019/05/29

광화문 현판에 얽힌 ‘흑역사’를 되짚어보기 위해선 2010년 8월 15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해방된 지 65년이 지나서야 광화문이 어엿하게 제자리를 찾은 감격적인 순간, 광화문 현판 때문에 논란이 일었습니다

COLUMN   

  2019/04/25

세계 최초의 이순신 전기를 쓴 사람은 일본인이었습니다. 일본 작가 세키코세이는 1892년에 《조선 이순신전》이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발표합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한 일본 수군의 활동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조선 수군의 지휘관 이순신의 업적을 조명한 글입니다.

COLUMN   

  2019/01/31

돼지를 주인공으로 그린 조선 시대 유일의 그림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이 작품은 조선 말기의 화가 기산 김준근(金俊根, 미상)의 <산제>입니다. 멧돼지 두 마리가 사이좋게 내달리는 장면을 그렸어요.

COLUMN   

  2018/11/28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의 택리지를 번역하던 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는 책의 여러 이본을 비교 조사하는 과정에서 임진왜란 당시에 ‘원숭이 부대’가 실제 전투에서 활약했다는 기록이 거의 빠짐없이 수록됐을 뿐 아니라 내용에도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택리지》에 등장하는 원숭이 부대에 관한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