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작품 속 백화점, 근대 자유와 낭만의 상징 (1편)

문학 작품의 공간은 그 시대를 담는 세계로 이야기됩니다. 때로는 작품 속 인물의 성격을 대변하기도 하죠. 1930년 10월 24일 우리나라 최초의 미스코시 백화점 경성점. 일제시대에 등장한 백화점이라는 공간은 당시 생활사적 면에서 일대 전환점이 될 만큼 새로운 공간이었습니다. 그만큼 당시 문학작품의 좋은 소재가 된 곳인데요, 우리 민족에게 있어 격변의 시기인 20세기 초의 문학에서는 백화점을 어떻게 그리고 있었을까요? 오늘부터 3편에 걸쳐 우리 근대 문학 속 백화점을 모습을 시대순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서춘(徐椿), 미스코시 백화점의 유통혁명을 논하다 (1931년)

“상업을 하더라도 가령 미스코시 같은 데를 가보십시오. 그 사람들은 많은 돈을 들여서 상품을 여러 가지로 또 많이 사다 놓고 팝니다. 그러니 상품 한 두 가지나 조금씩 내놓고 파는 상점보다 손님이 많이 옵니다. 또 파는 물건뿐 아니라 설비에도 많은 돈을 들였습니다.”

-서춘, ‘조선사람 빈궁의 실지적 7대 원인’ 中

 

서춘은 일제와 운명을 같이한 경제평론가입니다. 그는 1931년 4월 발간한 잡지 『혜성(彗星)』에 ‘조선사람 빈궁의 실지적 7대 원인’이라는 글을 게재하였죠. 이 글에는 미스코시 백화점이 일으킨 유통 혁명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습니다.

국내 최초 백화점인 미스코시백화점 경성점 전경 칼라엽서

미스코시 백화점은 전근대적인 상품판매 방식의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이와 함께, 진열장 판매, 정찰제 및 자유관람제, 철저한 교환환불제, 다량 구매에 따른 가격 책정, 갤러리와 옥상공원 운영 등을 시행하죠. 이렇게 미스코시 백화점이란 이름은 우리 근대 유통사뿐 아니라 식민지 일제기 우리나라 사람들의 시각문화와 근대 인식을 뒤바꾼 전환기적인 상징어로 역사에 남게 됩니다.

 

이효석, 근대의 낭만을 표현하다(1934년)

“검은 빛깔에 붉은 줄이 은은히 섞인 사치하면서도 결코 속되지 않은, 몸에 조화되고 취미에 맞는 넥타이”

-이효석, ‘수난’ 中

 

우리나라 대표적 단편소설 작가 이효석은 우리 근대의 작가이자, 언론인, 수필가, 시인입니다. 그의 작품 『수난』(1934년)에서도 백화점은 중요한 배경이죠. 여자 주인공이 백화점에서 넥타이를 골라주자 남자 주인공은 그녀의 예민한 미적 감각과 세련된 안목을 칭찬합니다.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넥타이라는 근대 문물을 통해 모던 보이와 신여성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죠.

미스코시백화점 경성점 3층에 위치한 넥타이(네쿠다이라 표기) 코너

 

 

 

이상, 근원을 향한 자유를 담다 (1936년)

“나는 어디로 들입다 쏘다녔는지 하나도 모른다. 다만 몇 시간 후에 내가 미스꼬시 옥상에 있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거의 대낮이었다. … 나는 거기 아무 데나 주저앉아서 내 자라 온 스물 여섯 해를 회고하여 보았다. … 이때 뚜우 하고 정오 사이렌이 울었다. 사람들은 모두 네 활개를 펴고 닭처럼 푸드덕거리는 것 같고 온갖 유리와 강철과 대리석과 지폐와 잉크가 부글부글 끓고 수선을 떨고 하는 것 같은 찰나! 그야말로 현란을 극한 정오다. …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이상, ‘날개’ 中

 

미스코시백화점 경성점 옥상에서 본 충무로, 좌측에는 한국은행, 정면에는 구 상업은행 본점, 우측에는 중앙우체국이 보인다.

박제된 천재라 불리는 이상. 그의 수많은 작품 중 가장 대표적인 작품인 『날개』 후반부에 등장하는 독백이 있습니다. 소설 속 주인공은 일상에서 외출과 귀환, 자유와 억압의 수평적 왕복 운동을 계속하죠. 그러다 집으로의 귀환을 접고 미스코시 백화점 옥상으로 향합니다. 그곳에서 주인공은 억압적인 세계에서 벗어나고자 합니다. 미스코시 백화점의 옥상은 본질을 추구하는 자유와 해방의 세계를 향한 비상 의지가 담긴 공간인 것이죠.

 

미스코시백화점 경성점 옥상 및 전망대 모습